맨위로가기

상주 황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주 황씨는 고려 시대 시중을 지낸 황석주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황을구가 상주에 정착하면서 상주를 본관으로 삼았으며, 고려 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많은 과거 급제자와 고위 관료를 배출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세종 때 청백리로 녹선되고 좌익공신에 책록된 황효원과 임진왜란 때 활약한 황우한 등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7,685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주 황씨 - 황효원
    황효원은 상주 황씨로, 1441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시기에 관직을 두루 거쳐 의정부 좌찬성에 이르고 1481년에 사망했다.
상주 황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상주 황씨
한자 표기尙州黃氏
관향경상북도 상주시
유형씨족
국가한국
기원
시조(황석주)
창성(황락)
(황락)
창성 시기고려
주요 인물
고려(황을구)
조선(황석주)
황효원
황우한
황징
현황
2015년 인구7,685명
주요 거주지용인시
평택시
기타
황씨 종친회황씨종친회

2. 역사

상주 황씨는 고려 때부터 조선 중기까지 많은 과거 급제자와 고위 문, 무관을 배출하였다.

6세손 황사간(黃士幹)은 19세에 정인지와 함께 과거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나 21세에 요절하였고, 순충보조공신, 영의정 상평 부원군(尙平府院君)에 추봉되었다.

8세손 황준경(黃俊卿)은 절충장군, 선산부사, 첨지중추부사, 군자감정을 지내고 좌승지에 증직되었다. 황석경(黃碩卿)은 대호군을 지내고 이조판서 겸 양관대제학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증직되었다. 황윤충은 직산현감을 지내고 통훈대부에 증직되었다.

9세손 황기찬(黃耆贊)은 군자감정을 지내고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증직되었다. 황기필(耆弼)은 익산군수를 지냈고, 황기좌는 장례원판결사에 증직되었다.

10세손 황세근(黃世懃)은 이조 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에 증직되었고, 황세은(世慇)은 영흥판관, 사복시정 겸 병조참판에 증직되었다.

11세손 황우상(黃佑商)은 덕산현감, 세자익위사 찬선(정3품)을 지내고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되었다.

12세손 황정영(黃挺英)은 통정대부 좌승지에, 황정호(黃挺豪)는 통훈대부 사복시정에 증직되었다.

13세손 황전(黃㙉)은 군수를 지내고 호조참의에 증직되었고, 황연(黃挻)은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고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에 증직되었다. 황징(黃瀓)은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참판, 공조참판 등을 지냈다. 황의는 호조판서, 상원군에 추봉되었고, 황기는 한성부 우윤에 증직되고, 황흘은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14세손 황인서(黃寅瑞)는 무과에 급제하여 충청도수군우후를 지냈고, 황진서(黃震瑞)는 숙천도호부사 등을 지냈다. 황유서(黃有瑞)는 1676년 무과에 급제하여 구성도호부사를 지냈다. 황종서는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15세손 황현(黃玹)은 한성부우윤에 증직되었고, 황재징(黃再瀓)은 무과에 급제하여 명천도호부사, 철원도호부사를 지냈다. 황옥(黃鈺)은 오위도총부도사를 지냈다. 황탁은 무과에 급제하고 부사를 지냈다.

16세손 황주는 동지중추부사, 황연은 군자감정, 황종은 사복시정, 황부는 경흥부사, 황택은 분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2. 1. 고려 시대

고려 때 시중(侍中)을 지내고 상주국(上柱國)에 이르렀다는 '''황석주'''(黃石柱)가 상주 황씨의 시조이다.[5] 상주 황씨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에 이르기까지 인구수에 비해 많은 과거 급제자와 고위 문,무관을 배출하였다.[5]

4세손 황을구(黃乙具)는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되었고, 소윤(少尹)을 지낸 후 상주(尙州)에 거주하기 시작하여 상주를 본관으로 하였으며, 제안군에 추봉되었다.[5]

5세손 황하신(黃河信)은 고려 공민왕 6년(1357년) 과거에 급제하여 종부시정(宗簿寺正)을 지냈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5]

7세손 황효원(黃孝元)은 1444년(세종 26)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예빈시주부, 예조정랑·사헌부좌헌납·이조정랑, 사복시윤(司僕寺尹) 등을 지냈고, 세종조에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1455년(세조 1)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즉위에 협력한 공으로 추충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책록되었으며, 1457년 성절사 겸 천추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형조 및 호조참판을 겸직하고, 상산군(商山君)에 봉군되었다. 1458년 대사헌, 형조참판, 충청도도관찰사(忠淸道都觀察使), 1459년 예조참판, 경기도관찰사 겸 개성유수를 지냈다. 1460년 한성부윤, 1467년 양관대제학, 세자좌빈객,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1469년 봉조하, 1470년(성종 1) 숭정대부 행 의정부 좌참찬(종1품)이 되었다. 1471년 성종의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순성좌리공신(佐理功臣) 에 녹훈 되었고, 1481년 숭록대부 의정부 좌찬성이 되었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며, 상주황씨의 중시조이다.[5]

11세손 황우한(黃佑漢)은 1574년(선조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호조정랑, 희천군수, 성균관 사예, 승정원 좌승지 등 삼사의 요직을 두루 역임하고, 1588년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1591년 도승지에 올랐다.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이후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가선대부로 승품, 경기도 관찰사, 한성부좌윤, 개성유수, 오위도총부 부총관, 홍문관 부제학이 되었다. 1605년 호조참판·병조참판, 이조참판을 지내면서 사옹원제조를 겸하였고, 임란선무원종 1등 공신에 녹훈되었으며, 1606년 1월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으나, 2월 서거하였다.[5]

2. 2. 조선 시대

상주 황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많은 과거 급제자와 고위 문무관을 배출하였다.

6세손 황사간(黃士幹)은 19세에 정인지와 함께 과거에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를 지냈으나 21세에 요절하였고, 순충보조공신, 영의정(領議政) 상평 부원군(尙平府院君)에 추봉되었다.

7세손 황효원(黃孝元)은 1444년(세종 26)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고, 세종조에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1455년(세조 1) 수양대군(首陽大君)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에 책록되었고, 1457년 명나라에 다녀온 후 상산군(商山君)에 봉해졌다. 이후 대사헌, 형조참판, 충청도도관찰사, 예조참판, 경기도관찰사 겸 개성유수, 한성부윤, 양관대제학, 세자좌빈객,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1470년(성종 1) 숭정대부 행 의정부 좌참찬이 되었고, 1471년 성종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순성좌리공신(佐理功臣)에 녹훈되었으며, 1481년 숭록대부 의정부 좌찬성에 올랐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며, 상주 황씨의 중시조이다.

8세손 황준경(黃俊卿)은 절충장군, 선산부사 등을 지내고 좌승지(左承旨)에 증직되었다. 황석경(黃碩卿)은 대호군을 지내고 이조판서(吏曹判書) 겸 양관대제학 등에 증직되었다. 황윤충은 직산현감을 지내고 통훈대부에 증직되었다.

9세손 황기찬(黃耆贊)은 군자감정을 지내고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에 증직되었다. 황기필(耆弼)은 익산군수를 지냈고, 황기좌는 장례원판결사에 증직되었다.

10세손 황세근(黃世懃)은 이조 참판(吏曹參判) 겸 동지의금부사에 증직되었고, 황세은(世慇)은 영흥판관, 사복시정 겸 병조참판에 증직되었다.

11세손 황우상(黃佑商)은 덕산현감 등을 지내고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되었다. 황우한(黃佑漢)은 1574년(선조 7)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요직을 거치고,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이후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와 가선대부로 승진하였다. 경기도 관찰사, 한성부좌윤, 개성유수, 오위도총부 부총관, 홍문관 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605년 호조참판·병조참판, 이조참판을 지내면서 사옹원제조를 겸하였고, 임란선무원종 1등 공신에 녹훈되었으며, 1606년 대사헌이 되었으나 곧 서거하였다.[5]

12세손 황정영(黃挺英)은 통정대부 좌승지에, 황정호(黃挺豪)는 통훈대부 사복시정에 증직되었다.

13세손 황전(黃㙉)은 군수를 지내고 호조참의에 증직되었고, 황연(黃挻)은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고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에 증직되었다. 황징(黃瀓)은 무과에 급제하여 형조참판, 공조참판 등을 지냈다. 황의는 호조판서, 상원군에 추봉되었고, 황기는 한성부 우윤에 증직되고, 황흘은 첨지중추부사를 지냈다.

14세손 황인서(黃寅瑞)는 무과에 급제하여 충청도수군우후를 지냈고, 황진서(黃震瑞)는 숙천도호부사 등을 지냈다. 황유서(黃有瑞)는 1676년 무과에 급제하여 구성도호부사를 지냈다. 황종서는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15세손 황현(黃玹)은 한성부우윤에 증직되었고, 황재징(黃再瀓)은 무과에 급제하여 명천도호부사, 철원도호부사를 지냈다. 황옥(黃鈺)은 오위도총부도사를 지냈다. 황탁은 무과에 급제하고 부사를 지냈다.

16세손 황주는 동지중추부사, 황연은 군자감정, 황종은 사복시정, 황부는 경흥부사, 황택은 분무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3. 인물

상주 황씨는 고려시대부터 조선 중기까지 많은 과거 급제자와 고위 문무관을 배출한 가문이다.

이름생몰년주요 경력 및 활동
황석주(黃石柱)?상주 황씨 시조, 고려 시중(侍中), 상주국(上柱國)
황을구(黃乙具)?4세손, 호조참판(추증), 소윤, 제안군 추봉
황하신(黃河信)?5세손, 고려 공민왕 6년(1357년) 과거 급제, 종부시정, 이조판서 겸 판의금부사(추증)
황사간(黃士幹)?6세손, 19세 과거 급제(정인지와 함께), 승문원 정자, 21세 요절, 순충보조공신, 영의정 상평부원군(추봉)
황효원(黃孝元)?7세손, 1444년(세종 26) 식년문과 장원, 예빈시주부, 예조정랑, 사헌부좌헌납, 이조정랑, 사복시윤, 청백리,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 3등, 1457년 명나라 사신, 형조 및 호조참판, 상산군, 1458년 대사헌, 형조참판, 충청도도관찰사, 1459년 예조참판, 경기도관찰사, 개성유수, 1460년 한성부윤, 1467년 양관대제학, 세자좌빈객, 강원도관찰사, 1469년 봉조하, 1470년(성종 1) 의정부 좌참찬(종1품), 1471년 순성좌리공신, 1481년 의정부 좌찬성, 시호 양평(襄平), 상주 황씨 중시조
황준경(黃俊卿)?8세손, 절충장군, 선산부사, 첨지중추부사, 군자감정, 좌승지(추증)
황석경(黃碩卿)?8세손, 대호군, 이조판서 겸 양관대제학 오위도총부 도총관(추증)
황윤충?8세손, 직산현감, 통훈대부(추증)
황기찬(黃耆贊)?9세손, 군자감정,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추증)
황기필(耆弼)?9세손, 익산군수
황기좌(黃耆佐)?9세손, 장례원판결사(추증)
황세근(黃世懃)?10세손, 어모장군, 이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추증)
황세은(黃世慇)?10세손, 영흥판관, 사복시정 겸 병조참판(추증)
황우상(黃佑商)?11세손, 덕산현감, 세자익위사 찬선(정3품), 승정원 좌승지(추증)
황우한(黃佑漢)?11세손, 1574년(선조 7) 별시문과, 호조정랑, 희천군수, 성균관 사예, 승정원 좌승지, 1588년 명나라 사신, 1591년 도승지, 1592년 임진왜란 시 명나라 사신, 가선대부, 경기도 관찰사, 한성부좌윤, 개성유수, 오위도총부 부총관, 강원도관찰사, 홍문관 부제학, 1605년 호조·병조·이조참판, 사옹원제조, 임란선무원종 1등 공신, 1606년 사헌부 대사헌
황정영(黃挺英)?12세손, 선무랑, 통정대부 좌승지(추증)
황정호(黃挺豪)?12세손, 선교랑, 통훈대부 사복시정(추증)
황전(黃㙉)?13세손, 사마증광시, 군수, 호조참의(추증)
황연(黃挻)?13세손, 별시무과, 병조좌랑, 군기시첨정, 내금위장, 명천도호부사, 풍천도호부사,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추증)
황징(黃瀓)?13세손, 식년시 무과, 호조정랑, 내금위장, 동부승지, 한성부 우윤, 포도대장, 어영대장, 형조참판, 공조참판
황의?13세손, 호조판서, 상원군(추봉)
황기?13세손, 한성부 우윤(추증)
황흘?13세손, 첨지중추부사
황인서(黃寅瑞)?14세손, 무과, 어모장군, 충청도수군우후
황진서(黃震瑞)?14세손, 통정대부, 숙천도호부사, 안주진관병마검절제사
황유서(黃有瑞)?14세손, 1676년 무과, 공조좌랑, 형조좌랑, 구성도호부사
황종서(黃宗瑞)?14세손, 동지중추부사
황현(黃玹)?15세손, 한성부우윤(추증)
황재징(黃再瀓)?15세손, 무과, 명천도호부사, 철원도호부사
황옥(黃鈺)?15세손, 통정대부, 해남현감, 어모장군, 오위도총부도사
황탁?15세손, 무과, 부사
황주?16세손, 동지중추부사
황연?16세손, 군자감정
황종?16세손, 사복시정
황부?16세손, 경흥부사
황택?16세손, 분무원종공신


4. 인구

연도인구
2000년7,031명
2015년7,685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상주황씨 尙州黃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8
[4] 웹사이트 황씨종친회 http://www.hwang.or.[...] 2022-09-04
[5] 문서 《국조인물고》 속고3 경재(卿宰)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